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마르크스주의 연구

홈으로 이동 마르크스주의 연구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게시물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분류, 내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역사적 유물론의 원본으로서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기원과 그 의미
작성자 경상국립대학교
등록일 2024.02.27
조회수 68
분류 일반논문

역사적 유물론의 원본으로서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기원과 그 의미-‘독일이데올로기 초고들’의 텍스트 편집사를 중심으로

이회진

이 글의 목적은 ‘독일이데올로기 초고들’의 텍스트 구조와 배열의 편집사를 중심으로 역사적 유물론들의 원본인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기원과 그 의미를 재해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독일이데올로기 초고들’을 재현한 대표적인 출판물인 MEGA¹ Ⅰ-5, MEW³, MARX ENGELS JAHRBUCH 2003의 ?서문?에 나타난 ‘역사적 유물론’과 ‘유물론적 역사 이해’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 후 ‘독일이데올로기 초고들’의 텍스트 구조와 배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MEGA¹ Ⅰ-5, MEW³, MEJ 2003, MEGA² Ⅰ-5를 문헌사적 관점에서 비교 검토한다. 그리고 막스 슈티르너가 포이어바흐를 비판한 부분을 담고 있는 ??유일자와 그의 소유??에 대한 비평이자 ‘독일이데올로기 초고들’의 직접적인 출발점인 ‘성 막스 초고’를 작성하게 된 이론적 지평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마르크스 역사철학이 슈티르너와 포이어바흐의 인간학적 논쟁에서 유래한다는 점을 규명한다. 특히 마르크스는 ‘성 막스 초고’에서 슈티르너의 반목적론적 역사 이해와 반본질주의적 관점의 중추인 유일자를 비판하면서, 동시에 ‘포이어바흐 초고들’에서 포이어바흐의 목적론적 역사 이해의 주체이자 인간학적 본질주의의 기반이 된 유적 존재를 비판한 점을 살펴본다. 끝으로 이 양자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마르크스가 인간과 역사에 대한 기존의 철학적 및 종교적 구성에 대한 비판적 기준을 역사적으로 미리 정립되어 있는 인간이자 자신의 역사철학의 주체인 ‘살아 있는 인간’으로 제시했으며, 바로 이 전제로부터 자신의 역사철학을 테제화했다는 점을 밝힌다.

마르크스 역사철학, ‘독일이데올로기 초고들’, MEGA1 Ⅰ-5, MEWMARX ENGELS JAHRBUCH 2003(이하 MEJ 2003으로 약칭함), MARX ENGELS JAHRBUCH 2003, MEGA2 Ⅰ-5, 유적 존재, 유일자, 역사주체로서 살아 있는 인간

첨부파일